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바스쿠 다 가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바스쿠 다 가마는 1460년경 포르투갈에서 태어난 탐험가로, 아프리카 희망봉을 돌아 인도 항로를 개척하여 대항해 시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1497년 리스본을 출발하여 1498년 인도 캘리컷에 도착하는 제1차 항해를 성공적으로 완수했으며, 이후에도 여러 차례 인도 항해를 지휘했다. 1524년에는 포르투갈령 인도의 총독으로 임명되었으나, 그 해 말 말라리아로 사망했다. 다 가마의 항해는 유럽 국가들의 아시아 진출을 촉진했으며, 그의 업적은 문학 작품과 기념물로 기려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서양 탐험가 - 존 캐벗
    존 캐벗은 이탈리아 출신 탐험가로, 헨리 7세의 후원을 받아 북미 대륙을 탐험하여 뉴펀들랜드에 상륙, 영국령을 선포했으며, 1498년 탐험 중 실종되었다.
  • 대서양 탐험가 - 안토니오 피가페타
    안토니오 피가페타는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세계 일주 항해에 참여하여 항해 기록을 남긴 16세기 이탈리아의 탐험가이자 학자이다.
  • 인도 탐험가 - 현장
    현장은 당나라의 승려이자 불경 번역가, 여행가로서, 17년간 인도를 여행하며 불경을 가져와 중국어로 번역하여 동아시아 불교 사상 발전에 기여했고, 그의 여행기는 『대당서역기』로 남아 소설 『서유기』의 모티브가 되었다.
  • 인도 탐험가 - 법현
    법현은 중국 십육국 시대 후조의 승려로, 불교 경전의 오류와 누락을 안타깝게 여겨 인도로 구법 여행을 떠나 불교 서적을 구하고 귀국 후 불경 번역에 매진하며 중국 불교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인도 여행기는 《불국기》라는 제목으로 남아 당시 중앙아시아와 인도에 관한 귀중한 사료가 되고 있다.
  • 고아주의 역사 - 포르투갈령 인도
    1498년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도착 후 포르투갈이 인도 아대륙에 건설한 식민지인 포르투갈령 인도는 1510년 고아 점령을 시작으로 여러 지역을 확보하며 450여 년간 존속, 인도 아대륙의 역사와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고아주의 역사 - 포르투갈의 고아 정복
    1510년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가 인도양 무역 장악과 아시아 무역 네트워크 거점 확보를 위해 고아를 점령했으며, 비자푸르 왕국의 반격 후 재탈환하여 포르투갈령 인도의 수도가 되었다.
바스쿠 다 가마 - [인물]에 관한 문서
직책
직책포르투갈령 인도 부왕
임기 시작1524년 9월 5일
임기 종료1524년 12월 24일
군주포르투갈의 주앙 3세
이전두아르트 드 메네즈스
다음엔리크 드 메네즈스
탐험 및 항해
알려진 이유아프리카와 인도의 탐험
인도 항로 발견
포르투갈 식민 제국 확장
서명
바스쿠 다 가마 서명

2. 어린 시절

바스쿠 다 가마는 1460년경(혹은 1469년[9]) 포르투갈 남서부 알렌테주 지방의 시니스에서 태어났다.[124] 그의 아버지는 이스테방 다 가마(1430~1497)로, 1460년 비제우 공작 페르난두 가문의 기사였으며 시니스의 시민 통치자였다.[124] 어머니 이자벨 소드레는 영국계 혈통의 유력 가문 출신이었다.[12] 형제로는 형 파울루 다 가마, 주앙 소드레와 동생 페드루 다 가마, 아이리스 다 가마가 있었고, 누이 테레사 다 가마는 로푸 멘데스 드 바스콘셀루스와 결혼했다.[13]

바스쿠 다 가마의 출생지인 포르투갈 시니시에 있는 그의 동상


다 가마는 내륙도시 에보라에서 수학과 항해술을 배웠고, 천문학자 아브라앙 자쿠투에게서 수학했다는 기록이 있다.[14] 1480년경 산티아고 기사단에 입단했으며,[125] 1492년 주앙 2세의 명으로 프랑스 선박을 억류하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왕의 신임을 얻었다.[126][127]

바스쿠 다 가마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많지 않다.[127] 다만, 항구 도시 시니스에서 성장했기에 항해에 관한 지식과 경험을 쌓았을 것으로 추정된다.[65]

3. 제1차 항해 (1497년 ~ 1499년)

1494년 토르데시야스 조약에 의한 영토 경계 설정 (보라색 실선)


1488년 희망봉 발견으로 인도로 향하는 새로운 항로가 열릴 듯했다. 그러나 1491년 7월 아폰소 왕세자가 낙마하여 사망하면서 후계자 문제[128]로 정국이 혼란스러워졌다. 또한 콜럼버스의 탐험(1492년)으로 인해 발생한 스페인과의 영토 분쟁은[129] 해양 탐사 사업을 정체시켰다. 1494년 6월 토르데시야스 조약을 체결하여 영토 분쟁은 해결되었으나, 1495년 10월 주앙 2세(1455~1495)가 사망하여 추진력을 잃었다.

포르투갈의 신항로 개척은 주앙 2세의 종제(從弟)인 마누엘 1세에 의해 적극적으로 다시 추진되었다. 마누엘 1세는 선왕의 충신이었던 바스쿠 다 가마를 인도 원정의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신항로 개척을 명하였다. 바스쿠 다 가마는 2년 동안 항해에 대한 정보를 꼼꼼하게 수집하고 원정 준비를 했다. 1497년 7월 8일, 주앙 1세(1357~1433)가 세운 산타 마리아 성당[130]에서 기도로 밤을 새운 후,[131][132][133] 4척의 함선과 170명의 선원을 이끌고 리스본의 벨렝항을 출발하였다.

바스쿠 다 가마의 리스본 출항


바스쿠 다 가마가 함장으로 임명된 경위는 불분명하다. 『바로스』에 따르면, 아버지 에스테방이 사망하여 그 직위를 계승했다고 한다. 『카스타뇨다』에 따르면, 처음에는 형 파울루가 후계자로 지명되었지만 병 때문에 사퇴했다고 한다. 그러나 『코레아』에서는 마누엘 1세가 중신들과 함께 후보자들을 선발하던 중, 우연히 바스쿠 다 가마가 지나가자 그 자리에서 임명했다는 것이다.[65] 당시 바르톨로메우 디아스는 건재했고, 바스쿠 다 가마의 항해 도중까지 배를 이끌고 동행했다는 점이 불가사의하다.[74]

항해를 위해 2척의 나우선이 새로 건조되었고, 그 공사는 당시 무기고 장관이었던 바르톨로메우 디아스가 담당했다. 그는 자신의 항해 경험을 바탕으로 나우선과 카라벨선 각 1척을 구입하여 총 4척의 함대를 구성했다.[65] 함대에는 총 170여 명의 승무원이 있었는데, 흑인 하인[75], 수로 안내인[76], 그리고 사면을 대가로 위험한 임무를 맡은 10명 남짓한 전 사형수도 포함되어 있었다.[74]

3. 1. 함대 구성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원정 함대는 다음과 같이 4척의 선박으로 구성되었다.

선박명지휘관비고
상 가브리엘(São Gabriel)바스쿠 다 가마기함(旗艦). 178톤급 캐랙(carrack). 길이 27m, 폭 8.5m, 흘수(吃水) 2.3m, 돛넓이 372m2[20]
상 라파엘(São Rafael)파울루 다 가마[134] (바스쿠 다 가마의 형)캐랙(carrack). 크기는 상 가브리엘호와 비슷. 귀국 중 침몰.[147][146]
베히우(Berrio)호니콜라우 코엘류100톤급[135] 캐러밸(Caravel). 후에 상 미겔(São Miguel)이라는 새 이름을 얻음.
수송선곤살루 누느스(Gonçalo Nunes)400톤급.[135] 아프리카 모잠비크에서 침몰.[139]



1497년 7월 8일, 바스쿠 다 가마는 리스본에서 170명의 선원을 태운 함대를 이끌고 출발했다.[20] 이 함대에는 포르투갈의 노련한 항해사인 페루 드 알렌케르, 페드루 에스코바르, 주앙 드 코임브라, 아폰수 곤살베스 등이 포함되었다. 각 선박의 선원 수는 확실하지 않지만, 약 55명이 귀환했고 두 척의 배는 항해 중 손실되었다.[20]

3. 2. 항해 경로

바스쿠 다 가마의 항로


바스쿠 다 가마의 함대는 1497년 7월 8일 리스본을 출발하여 카나리아 제도와 케이프베르데를 경유했다. 이후 바르톨로메우 디아스의 조언에 따라 시에라리온 앞바다에서 대서양 중간 지대로 크게 우회하는 항로를 택했다. 이는 기니만의 무풍지대와 적도 이남 지역의 무역풍에 의한 맞바람, 그리고 폭풍을 피하기 위함이었다.[136][137] 3개월간의 항해 끝에 11월 초순 희망봉을 돌아, 12월 16일에는 바르톨로메우 디아스가 배를 돌렸던 그레이트 피시 강을 지났다.

1498년 3월 2일부터 29일까지 모잠비크섬 근처에 머물렀다. 동아프리카 해안은 인도양 무역 네트워크의 중요한 부분이었으나, 아랍인들이 지배하거나 영향권 아래에 있었다. 현지인들이 기독교인들에게 적대적일 것을 우려한 다 가마는 무슬림으로 가장하여 술탄을 알현했으나, 선물이 부족하여 현지인들의 의심을 샀다. 결국 모잠비크에서 탈출해야 했으며, 이 과정에서 이슬람 교도의 공격으로 수송선을 잃었다.[138][139]

4월 7일 몸바사에 입항했으나 적대적인 분위기로 인해 며칠 만에 떠났다. 4월 14일 말린디에 도착했는데, 당시 말린디는 몸바사와 분쟁 중이었기에 포르투갈인들에게 우호적이었다. 다 가마는 인도 남서 해안의 캘리컷까지 안내할 항해사를 고용했다. 이 항해사는 구자라트인이었다고도 하고,[140] 이븐 마지드였다고도 전해진다.[122][139] 1498년 4월 24일, 다 가마 일행은 말린디를 떠나 인도로 향했다.

캘리컷에 도착한 바스쿠 다가마


1498년 5월 20일, 리스본을 떠난 지 316일(10개월 12일) 만에 캘리컷(코지코드)에 도착했다.[141][142] 캘리컷은 번영하는 무역 도시였다. 다 가마는 캘리컷의 힌두교 통치자 자모린을 만나 무역을 청했으나, 이슬람 상인들의 방해로 통상 조약을 체결하지는 못했다.[144]

3. 3. 인도 도착과 귀환

1498년 5월 20일, 바스쿠 다 가마 원정대는 리스본을 떠난 지 316일(10개월 12일) 만에 인도 캘리컷에 도착했다.[142] 캘리컷은 인도양의 주요 무역항 중 하나로 번영을 누리고 있었다. 바스쿠 다 가마는 캘리컷의 힌두교 통치자인 자모린(Zamorin)을 만나 무역을 제안했으나, 현지 상권을 장악하고 있던 이슬람 상인들의 방해로 통상 조약 체결에는 실패했다.[144]

자모린을 알현하는 바스쿠 다 가마


포르투갈에서 가져온 상품들은 현지인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고, 이슬람 상인들의 적대감은 매우 컸다. 포르투갈인들이 지나가면 상인들은 바닥에 침을 뱉으며 "포르투갈!, 포르투갈!"이라고 외칠 정도였다.[145] 결국 다 가마는 향신료 등을 구매한 후 3개월 만인 8월 말에 서둘러 귀국길에 올랐다.

1498년 8월 29일 인도를 출발한 원정대는 1499년 1월 7일 말린디에 도착했다. 몬순의 영향으로 인도양 횡단에는 132일이 소요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선원의 절반 정도가 사망했고, 나머지도 괴혈병에 시달렸다. 결국 캐랙선 상 라파엘호를 침몰시키고[146] 남은 두 척의 배에 인원을 재배치해야 했다.[147]

니콜라우 코엘류(Nicolau Coelho)가 이끄는 베히우(Berrio)호는 7월 10일에 리스본에 도착했고, 상 가브리엘호는 바스쿠 다 가마와 병에 걸린 그의 형 파울루를 아조레스 제도에 내려준 후 7월 말경에 리스본에 입항했다. 다 가마는 형을 간호했지만 파울루는 결국 사망했고,[147] 다 가마는 9월 9일이 되어서야 귀국했다. 마누엘 1세는 그의 귀국을 크게 축하하며[148] "Don"이라는 경칭과 "인도양의 제독(Admiral of the Indian Seas)"이라는 칭호를 하사했다.

힘든 여정이었지만, 다 가마의 귀국으로 투자자들은 투자 원금의 60배에 달하는 배당금을 받았다.[149]

4. 제2차 항해 (1502년 ~ 1503년)

페드루 알바르스 카브랄이 이끈 2차 원정대(1500~1501)가 캘리컷(코지코트)에서 포르투갈인 학살 사건을 겪은 후, 포르투갈은 캘리컷에 대한 복수와 인도 서안 지역의 도시 국가들과의 무역 협정 체결을 목표로 4차 원정대를 파견했다. 이 원정대는 바스쿠 다 가마가 지휘했으며, 1502년부터 1503년까지 진행되었다.

1차 항해 이후 바스쿠 다 가마는 인도 제독이자 종신 인도 함대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많은 보상을 받았다.[98] 그러나 캘리컷과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1차 항해에서 보였던 그의 행동들은 인도양 무역 관행에 어긋나 의심을 받기도 했다.[99]

2차 항해에서 바스쿠 다 가마는 캘리컷에 대한 무력 시위와 학살을 자행하며 잔혹한 모습을 보였다. 칸나노르와 코친 등과 교역 협정을 맺었지만, 캘리컷과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귀국길에는 많은 양의 향신료를 싣고 왔으며, 마누엘 1세에게 코친과 칸나노르에 대한 수비대 보강을 요청했다.[166]

4. 1. 원정 준비

1502년 2월 12일, 바스쿠 다 가마는 20척의 함선과 1500명의 인원으로 구성된 함대를 이끌고 리스본을 출발했다.[152] 이 함대는 대부분 중무장한 선박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캘리컷(코지코트)에 대한 복수와 무력 시위를 통해 인도 서안 지역의 도시 국가들과 무역 협정을 체결하기 위한 목적이었다.[151]

카브랄이 이끈 2차 원정(1500~1501) 중 캘리컷에서 교역소가 습격당하고 50여 명의 포르투갈인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캘리컷에 대한 응징이 4차 원정의 주요 목표 중 하나가 되었다.[150][151]

20척 중 15척의 선발대가 먼저 출발했으며,[152] 나머지 5척은 4월 1일에 리스본을 출발했다. 3차 원정대가 아직 귀국하지 않았지만, 계절풍을 이용하지 못하면 1년을 지체해야 했기 때문에 출발을 서둘렀다.

4. 2. 인도 현지 활동

1502년 3월 초, 다 가마 함대는 브라질의 케이프 성 어거스틴에 잠시 들러 급수한 후,[153] 6월에 모잠비크에 도착하여 교역소를 설치하고[154] 소팔라와 무역 협정을 체결하였다. 또한 모잠비크와 소팔라의 공식적인 지배자이며 동아프리카 해안에 영향력 있는 도시 국가였던 킬와 술탄국을 조공국으로 만들었다.[155] 킬와에서는 3차 원정대의 주앙 다 노바가 남긴 서신을 입수하여 인도 상황을 알 수 있었다.[156] 4월 1일에 리스본을 출발한 제3함대 5척은 7월 23일에 킬와 항구와 모잠비크에 도착하여 다 가마의 본진과 합류하였다.[157]

바스쿠 다 가마의 활동 여정


인도양을 횡단한 다 가마의 함대는 다불 항을 경유한 후, 1502년 8월 20일 인도 고아 인근의 안제디바 섬에 도착하였다. 이후 응징과 선전포고를 겸한 무력행사에 돌입하여 오노르 항구를 초토화시켰고, 이에 겁을 먹은 인근 바테킬라 지역은 즉시 굴복하였다.[158]

1502년 9월 29일, 다 가마는 이슬람 순례선 미리호를 나포하여[159] 재물을 강탈하였다. 몸값 지불을 약속하며 자비를 구하는 승객들의 애원을 묵살하고 이들을 학살한 후,[160] 배를 불태워 침몰시켰다. 이 사건으로 약 300명이 사망하였으며, 인도 현지인들에게 포르투갈에 대한 엄청난 증오심을 불러일으켰다. 1500년 7월에 있었던 포르투갈 교역소 기습 사건과 더불어 미리호 학살 사건은 포르투갈과 캘리컷 간의 갈등을 더욱 심화시켰다.

캘리컷의 지배자 자모린


1502년 10월 18일, 칸나노르로 이동하여 교역 협상을 한 후, 10월 29일 캘리컷 앞바다에 도착하였다. 다 가마는 사절을 통해 교역소 습격 사건(1500년)의 주동자 처벌, 적절한 보상, 이슬람 상인 추방을 요구했다. 자모린이 이 무리한 요구를 거부하자,[163] 1502년 11월 1일 포르투갈 전함들은 캘리컷 항에 무차별적인 함포 사격을 가하였다. 캘리컷의 육상 대포는 성능과 화력에서 밀려 제대로 된 반격을 하지 못했다.

다 가마는 생포한 포로들의 손과 발을 잘라 모욕적인 서신과 함께 자모린에게 보냈다.[164] 이튿날에도 함포 사격을 재개하여 항구 도시 캘리컷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참모들이 상륙을 건의했으나, 다 가마는 협상의 여지를 남긴 채 코친으로 주력 함대를 이동시켰다. 코친에서는 교역 조건을 재협상하였고, 퀼론과도 거래를 진행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캘리컷에서 평화 협상 의사를 전해왔다. 다 가마는 캘리컷으로 이동하여 함상에서 협상을 진행하던 중 매복 공격을 받았으나 모두 격퇴시킨 후 그곳을 빠져나왔다.[165]

다 가마가 귀국을 위해 인도를 떠나기 전, 외숙부인 비센테 소드레(1465~1503)의 지휘를 받는 5척을 잔류시키며 인도 말라바르 해안 순찰을 강화하여 캘리컷으로부터 칸나노르와 코친을 보호할 것을 명하였다.[167] 다 가마가 인도를 떠나자마자 캘리컷의 자모린이 코친에 대해 육로 침공을 준비하고 있다는 첩보가 입수되었다.

그러나 비센테 소드레는 이 첩보를 묵살하고 다 가마의 명을 어긴 채[168] 함대를 홍해로 이동하여 이슬람 상선을 상대로 약탈을 일삼았다. 그러다 4월경 폭풍을 만나 침몰하는 배(에스메랄다 호)와 함께 사망하였다.[169] 1503년 4월, 캘리컷은 육상을 통해 코친을 침공하였고, 잔류했던 포르투갈인들은 비핀 섬으로 도피했다. 코친이 처한 위기 상황은 1503년 8월, 알부케르크가 이끄는 포르투갈 5차 원정대가[170] 인도에 도착하자[171] 캘리컷이 철수하면서 해결되었다.

4. 3. 귀국

1503년 초, 다 가마는 향신료를 실은 함대를 이끌고 인도를 출발하여 귀국길에 올랐으며, 9월경 리스본에 도착했다. 귀국 직후 다 가마는 코친과 칸나노르에 대한 수비대 보강이 시급하다고 국왕 마누엘 1세에게 보고했다. 또한 그는 귀국 시 후추 1700톤, 계피와 정향, 메이스, 육두구 400톤 정도의 엄청난 양의 향신료를 싣고 왔다.[166]

5. 제3차 항해 (1524년)

1521년 주앙 3세가 즉위하자, 바스쿠 다 가마는 인도 현지 공관들의 부패를 바로잡기 위해 부왕[172]으로 임명되어 세 번째 항해에 나섰다. 당시 인도 총독이었던 두아르테 드 메네제스(Duarte de Menezes)는 무능하고 부패하다는 평을 받아 많은 불만을 사고 있었다. 주앙 3세는 바스쿠 다 가마의 업적과 명성이 포르투갈 인도에 대한 권위를 강화하고 새로운 전략으로의 전환을 이끌 것이라 확신했다.[47]

1524년 임명장에서 주앙 3세는 바스쿠 다 가마에게 프란시스쿠 드 알메이다에 이어 두 번째로 '총독'이라는 칭호를 부여했다.[47] 그의 차남 에스테반 다 가마는 루이스 드 메네제스를 대신하여 '인도 해역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5. 1. 항해와 죽음

주앙 3세는 1521년 주앙 2세가 사망한 후 즉위하여 바스쿠 다 가마를 정책 고문으로 등용했다. 1524년, 주앙 3세는 인도 현지의 부패를 바로잡고 새로운 전략을 추진하기 위해 바스쿠 다 가마를 총독으로 임명했다.[47] 바스쿠 다 가마는 1524년 4월, 14척의 함대를 이끌고 리스본을 출발하여 9월에 인도에 도착했다. 그는 총독이었던 두아르테 드 메네제스(Duarte de Menezes)를 직위 해제하고 체포하여 본국으로 압송했으며,[173]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말라리아에 걸려 1524년 12월 24일 코친(Cochin)에서 사망했다.[173]

코친(현 코치)의 성 프란시스코 교회에 있는 바스쿠 다 가마의 옛 무덤


제로니무스 수도원에 있는 바스쿠 다 가마의 묘


그의 유해는 처음에는 코친의 성 프란시스 교회에 매장되었다가, 1539년 포르투갈로 이장되어 비디게이라(Vidigueira)에 금과 보석으로 장식된 관에 다시 매장되었다. 현재는 제로니무스 수도원에 안장되어 있다.[118]

6. 비판과 유산

바스쿠 다 가마는 캘리컷 토후와의 전투, 원주민 문화에 대한 몰이해, 미리호 학살 사건 등 잔혹 행위로 인해 비판받는다.[177] 1502년 8월 20일 인도 고아 인근에 도착한 다 가마는 응징과 선전포고를 위한 무력행사에 돌입, 오노르 항구를 초토화시켰다.[158] 9월 29일에는 이슬람 순례선 미리호를 나포하여 재물을 강탈하고, 몸값 지불 약속에도 불구하고 승객들을 학살하고 배를 불태워 침몰시켰다.[159][160] 약 300명이 사망한 이 사건은 인도 현지인들에게 포르투갈에 대한 증오심을 불러일으켰다.[165]

포르투갈인들은 여러 선박을 약탈하고 시체를 매달아 사격 연습을 했으며, 현지 통치자에게 시체 토막을 보내면서 커리 재료로 쓰라는 메시지를 동봉하는 등 잔인한 행위를 저질렀다.[165][161][162] 이러한 만행은 중세 유럽인들이 불신자들을 지옥으로 보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165]

1502년 10월 29일, 캘리컷 앞바다에 도착한 다 가마는 교역소 습격 사건(1500)의 주동자 처벌, 보상, 이슬람 상인 추방을 요구했다. 자모린이 거부하자 11월 1일 캘리컷 항에 무차별적인 함포 사격을 가했고, 생포한 포로들의 손과 발을 잘라 모욕적인 서신과 함께 보내는 만행을 저질렀다.[163][164]

이러한 그의 행적은 인도 국민들의 격렬한 반발을 불러일으켜, 인도 정부와 포르투갈 정부가 추진한 인도 항해 500주년 행사가 무산되기도 했다. 인도인들은 극우에서 극좌에 이르기까지 다 가마를 식민 지배의 장본인이라고 비판했다.[178][179] 다 가마의 항해는 포르투갈이 해상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기여했지만, 식민 지배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기도 했다.

6. 1. 유산

포르투갈의 서사시, 루이스 드 카몽이스의 ''루지아다스''는 바스쿠 다 가마의 항해를 다루고 있다.[53]

그의 이름을 딴 장소로는 고아의 항구 도시 바스쿠 다 가마, 의 바스쿠 다 가마 크레이터, 브라질의 클루비 드 레가타스 바스쿠 다 가마를 포함한 세 개의 축구 클럽과 고아의 바스쿠 스포츠 클럽, 케랄라주 코치의 바스쿠 다 가마 교회, 세인트헬레나 섬의 개인 주택, 케이프타운의 바스쿠 교외, 마카오의 정원 등이 있다.

리스본의 파르케 다스 나소이스에는 바스쿠 다 가마 다리, 바스쿠 다 가마 타워, ''센트루 코메르시알 바스쿠 다 가마'' 쇼핑센터 등 그의 이름을 딴 장소들이 있다.[55]

7. 가족

바스쿠 다 가마 문장


바스쿠 다 가마는 1501년경 알보르(알가르베)의 alcaide-mórpt이자 유력 가문인 알메이다 가문과 친척 관계에 있던 알바루 드 아타이데의 딸인 카타리나 드 아타이데와 결혼했다.[36] 카타리나 드 아타이데는 도메 프란시스쿠 드 알메이다의 사촌이었다.[36]

바스쿠 다 가마와 그의 아내 카타리나 드 아타이데 사이에는 아들 여섯 명과 딸 한 명이 있었다.[51]

이름역할
돔 프란시스쿠 다 가마아버지의 작위를 이어받아 비디게이라 백작 2세이자 인도, 아라비아, 페르시아 해양 제독 2세가 되었다. 포르투갈에 남았다.
돔 에스테반 다 가마1524년 인도 순찰 함장직에 임명되었으나 실패, 이후 1534년부터 1539년까지 3년 임기로 말라카 함장 역임 (동생 파울루의 임기 마지막 2년 포함). 1540년부터 1542년까지 제11대 인도 총독 역임.
돔 파울루 다 가마(삼촌 파울루와 같은 이름) 1533년부터 1534년까지 말라카 함장을 지냈으며, 말라카 해전에서 전사.
돔 크리스토바오 다 가마1538년부터 1540년까지 말라카 함장 역임. 말라카 총독 후임으로 지명되었으나, 1542년 아흐마드 이븐 이브라힘에 의해 에티오피아-아달 전쟁 중 처형.
돔 페드루 다 실바 다 가마1548년부터 1552년까지 말라카 함장 역임.
돔 알바루 드 아타이데 다 가마1540년대에 말라카 함대 함장으로 임명되었고, 1552년부터 1554년까지 말라카 함장 역임.
도나 이자벨 드 아타이데 다 가마외동딸이며, 초대 린야레스 백작의 아들인 돔 이냐시오 드 노로냐와 결혼.



그의 남계 후손은 1735년 비디게이라 백작 7세인 돔 바스쿠 발타사르 조제 루이스 가마가 사망하면서 단절되었다. 그는 그의 아내와의 사이에서 딸인 도나 마리아 조제 다 가마만을 남겼고, 그녀가 비디게이라의 재산을 상속받았다. 따라서 작위는 여계로 계승되었다.[52]

참조

[1] LPD
[2] EPD
[3] 웹사이트 Vasco da Gama {{!}} Biography, Achievements, Route, Map, Significance, & Facts https://www.britanni[...] 2021-10-03
[4] 웹사이트 Vasco da Gama {{!}} Biography, Achievements, Route, Map, Significance, & Facts https://www.britanni[...] 2021-10-31
[5] 서적 Holy War: How Vasco da Gama's Epic Voyages Turned the Tide in a Centuries-Old Clash of Civilizations Harper
[6] 서적 Foundations of the Portuguese Empire, 1415–1580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The Globe Encompassed Pearson Prentice Hall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History of Portugal Columbia University Press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Foundations of the Portuguese Empire, 1415–1850 https://books.google[...]
[21] 웹사이트 Da Gama's ''Round Africa to India'' http://www.fordham.e[...] 2006-11-16
[22] 서적 A Nautica dos Descobrimentos: os descobrimentos maritimos visitos por um navegador Agencia Geral do Ultramar
[23] 서적 Pathfinders: A Global History of Exploration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24] 웹사이트 Vasco da Gamma Seeks Sea Route to India http://www.oldnewspu[...] 2006-07-08
[25] 서적 Pathfinders: A Global History of Exploration https://archive.org/[...] W.W. Norton & Company
[26] 서적 Vasco da Gama: Renaissance Crusader Pearson/Longman
[27] 서적 The First Book of the Historie of the Discoveries and Conquests of the East India by the Portingals London
[28] 서적 Calicut: The City of Truth Calicut University Publications
[29] 서적 Da Gama's First Voyage
[30] 서적 Prince Henry the Navigator and the discovery of the sea route to India
[31] 서적
[32] 서적 Da Asia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https://books.google[...]
[36] 서적
[37] 서적 Coromandel: a personal history of South India Little, Brown 2017
[38] 서적 The Kunjalis – Admirals of Calicut 1963
[39] 웹사이트 Vasco da Gama Arrives in India 1498 http://www.northpark[...] 2015-07-29
[40] 서적 Conquerors: How Portugal Forged the First Global Empire Faber & Faber 2015
[41] 서적 Calicut: The City of Truth Calicut University Publications 2006
[42] 서적 A Survey of Kerala History D. C. Books Kottayam 1967
[43] 서적 Conquerors: How Portugal Forged the First Global Empire Faber & Faber 2015
[44] 서적
[45] 서적 A journal of the first voyage of Vasco da Gama, 1497–1499 Hakluyt Society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Vasco da Gama: So Strong a Spirit Marshall Cavendish 2005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Decadas de Asia, Brasões da Sala de Sintra, Livro Segundo
[52] 서적 Brasões da Sala de Sintra, Livro Segundo http://archive.org/d[...] Coimbra : Imprensa da Universidade 1921
[53] 웹사이트 The Lusiads http://www.wdl.org/e[...] 2013-08-31
[54] 서적
[55] 웹사이트 Centro Vasco da Gama http://www.centrovas[...] Centrovascodagama.pt 2009-01-29
[56] 웹사이트 Vasco participa na maior Parada das Mascotes em Portugal https://www.oceanari[...] Lisbon Oceanarium 2021-01-10
[57] 잡지 Shipwreck Discovered from Explorer Vasco da Gama's Fleet http://news.national[...] 2016-03-14
[58] 서적 世界史探究 実教出版 2023-01-25
[59] 서적
[60] 서적 2015-12-26
[61] 웹사이트 Modern History Sourcebook : Vasco da Gama : Round Africa to India, 1497-1498 CE http://www.fordham.e[...] Fordham university 2007-06-27
[62] 서적 The Globe Encompassed 2008-01-10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2015-12-26
[105] 서적
[106] 서적 ガマの第二回航海 アフリカ東海岸
[107] 서적 ガマの第二回航海 マラバル海岸の封鎖
[108] 서적 ガマの第二回航海 ガマ、カレクトに向かう
[109] 서적 ガマの第二回航海 コチンとカナノールにおける行動
[110] 서적 ガマの第二回航海 カナノール
[111] 서적 ガマの第二回航海 帰国後のガマ
[112] 서적 ガマの第二回航海 ガマの第二回航海の意義
[113] 서적 「インディア領」の成立 「インディア領」の成立
[114] 서적 「インディア領」の成立と発展 アルメイダ、インドへ向かう
[115] 서적 「インディア領」の成立と発展 総督アルプケルケ
[116] 서적 「インディア領」の成立と発展 ロポ・ソアレス・デ・アルベルガリア〜ディオゴ・ロペス・デ・セケイラとドゥアルテ・デ・メネゼス
[117] 서적 ガマの最後の航海とその死 ジョアン三世と海外植民地
[118] 서적 ガマの最後の航海とその死 ガマの死
[119]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20] 서적 서구문명은 동양에서 시작되었다 에코 리브르 2010-04-15
[121] 웹사이트 과대평가된 영웅들, 콜럼버스와 다 가마 (1) - 그들은 첫 번째가 아니었다 https://terms.naver.[...]
[122] 웹사이트 바스코 다가마 https://terms.naver.[...]
[123] 웹사이트 바스코 다 가마 https://terms.naver.[...] 2002-01-10
[124] 서적 1997
[125] 서적 1997
[126] 서적 1997
[127]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128]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129] 웹사이트 토르데시야스 조약 - 스페인과 포르투갈, 지구를 둘로 나누다 https://terms.naver.[...] 2014-12-22
[130] 웹사이트 제로니무스 수도원과 벨렘탑 https://terms.naver.[...]
[131] 서적 콜럼버스와 그 아들들의 세계 이론과 실천 2006-02-20
[132] 서적 2011
[133] 서적 Lisbon and Its Surroundings Livraria Bertrand, Sarl 1972
[134] 서적 A journal of the first voyage of Vasco da Gama, 1497-1499 https://books.google[...] Hakluyt Society 1898
[135] 웹사이트 인도항로의 개척자 바스코 다 가마 https://terms.naver.[...] 2004-06-30
[136] 웹사이트 인물 세계사
[137] 서적 무역의 세계사 라이팅하우스 2019-04-10
[138] 웹사이트 Vasco da Gamma Seeks Sea Route to India https://web.archive.[...] 2006-07-08
[139] 웹사이트 바스코 다 가마 https://terms.naver.[...]
[140] 웹사이트 과대평가된 영웅들, 콜럼버스와 다 가마 (2) - 무모했던 항해자들 https://terms.naver.[...]
[141] 일반
[142] 서적 콜럼버스와 그 아들들의 세계 이론과 실천 2006-02-20
[143] 논문 The Importance of the Zamorins of Calicut 1976
[144] 백과사전 캘리컷 스페인·포르투갈사 2005-07-15
[145] 서적 무역의 세계사 라이팅하우스 2019-04-10
[146] 백과사전 바스쿠 다가마
[147] 서적 무역의 세계사 라이팅하우스 2019-04-10
[148] 백과사전 캘리컷 스페인·포르투갈사 2005-07-15
[149] 서적 돈의 역사 로크미디어 2019-06-14
[150] 서적 무역의 세계사 라이팅하우스 2019-04-10
[151] 일반
[152] 일반
[153] 일반
[154] 일반
[155] 일반
[156] 일반
[157] 일반
[158] 일반
[159] 일반
[160] 서적 무역의 세계사 라이팅하우스 2019-04-10
[161] 일반
[162] 백과사전 바스코 다가마 인물세계사
[163] 일반
[164] 일반
[165] 서적 무역의 세계사 라이팅하우스 2019-04-10
[166] 서적 무역의 세계사 라이팅하우스 2019-04-10
[167] 일반
[168] 일반
[169] 논문 A Portuguese East Indiaman from the 1502–1503 Fleet of Vasco da Gama off Al Hallaniyah Island, Oman: an interim report http://eprints.bourn[...] 2016-03-14
[170]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2019-04-25
[171] 일반
[172] 일반
[173] 일반
[174] 백과사전 바스쿠다가마의 첫 인도 여행기(1497~1499) [Journal of the first voyage of Vasco da Gama to India, 1497-1499]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세계기록유산
[175] 일반
[176] 서적 바스쿠다가마의 첫 인도 여행기(1497~1499) 두산백과
[177] 서적 대항해시대
[178] 웹사이트 Explorer or Exploiter? http://www.rediff.co[...]
[179] 뉴스 Indians say no to Vasco da Gama http://news.bbc.co.u[...] 2007-03-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